본문 바로가기
IT/파이썬 기초 완전 정복

파이썬 코딩 스타일 가이드 (25)

by 지식 발전소 2024. 4. 22.
728x90
반응형

1

 

가독성을 위한 코딩 스타일

가독성(readability)이란 무엇일까요? 가독성은 코드를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를 뜻합니다. 코드의 가독성이 좋다는 것은 다른 사람이 코드를 보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협업과 코드 유지보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독성이 좋은 코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다른 개발자가 코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코드 리뷰 시간이 단축됩니다.
  • 버그를 빨리 찾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 협업이 수월해집니다.
  • 코드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파이썬에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이 규칙들은 파이썬 공식 스타일 가이드인 PEP 8[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주요 규칙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의미 있는 이름 사용하기 변수, 함수, 클래스 이름은 그 목적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의미 있게 지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x, data, obj보다는 user_name, distance_in_miles, DatabaseConnection과 같이 구체적인 이름이 좋습니다.
  2. 일관된 규칙 따르기
    파이썬에는 이름 지정 규칙이 있습니다. 변수와 함수 이름은 lowercase_with_underscores 형식을, 클래스 이름은 CapitalizedWord 형식을 사용합니다. 이 규칙을 일관되게 따르면 가독성이 높아집니다.
  3. 주석 다는 습관 기르기 주석을 통해 코드의 목적, 기능, 구현 방식 등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길거나 불필요한 주석은 오히려 가독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주석은 간단 명료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들여쓰기와 공백 잘 사용하기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코드 블록을 구분합니다. 일관된 들여쓰기 규칙(보통 4개의 공백)을 지켜야 합니다. 또한 연산자 주변에 공백을 적절히 넣어 가독성을 높입니다.
  5. 적절한 행 길이 유지하기 한 줄에 너무 많은 코드가 있으면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PEP 8에서는 한 줄의 최대 길이를 79자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긴 문자열이나 주석은 여러 줄로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파이썬 코딩 스타일을 지키면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져 다른 개발자와 협업하거나 코드를 유지보수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다음 장에서는 깔끔한 코드 작성을 위한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깔끔한 코드 작성 기법

깔끔한 코드란 무엇일까요? 깔끔한 코드는 가독성이 높고 중복이 적으며, 모듈화되어 있고, 효율적으로 작성된 코드를 말합니다. 이렇게 깔끔한 코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 버그를 찾기 쉽습니다.
  • 코드를 이해하고 확장하기 쉽습니다.
  • 협업이 수월해집니다.

깔끔한 코드를 작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몇 가지 주요 기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함수 분리하기 하나의 함수가 너무 많은 일을 하면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떨어집니다. 기능을 잘게 나누어 여러 함수로 분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모듈화하기 관련된 함수와 클래스를 모듈로 묶으면 코드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습니다. 모듈은 재사용성과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3. 중복 제거하기 동일한 코드가 여러 곳에서 반복되면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 중복 코드를 함수로 만들어 재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의도 명확히 하기 코드 작성 시 의도를 명확히 드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수, 함수, 클래스 이름을 적절히 지어 의도를 드러내고, 주석으로 설명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일관성 유지하기 일관된 코딩 스타일과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이를테면 들여쓰기, 변수 명명 규칙, 공백 사용 등에서 일관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6. 불필요한 코드 제거하기 사용하지 않는 코드, 중복 코드, 주석 등 불필요한 부분은 과감히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깔끔한 코드는 필요한 부분만 남겨두어야 합니다.

이렇게 깔끔한 코드 작성 기법을 익히면 가독성이 높고 유지보수하기 좋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파이썬 프로젝트 구조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젝트 구조화

프로젝트를 잘 구조화하는 것은 왜 중요할까요? 프로젝트의 코드와 파일이 잘 구조화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코드를 찾기 어려워집니다.
  • 충돌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규모가 커지면 관리가 힘들어집니다.
  • 재사용성과 확장성이 떨어집니다.

반면 프로젝트 구조를 잘 잡아두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논리적으로 구성된 모듈과 패키지로 인해 코드를 쉽게 탐색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코드 중복과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규모가 커져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코드의 재사용성과 확장성이 높아집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프로젝트를 구조화해야 할까요? 파이썬에서는 보편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project/
│
├── README.md
├── requirements.txt
├── setup.py
├── project_name/
│   ├── __init__.py
│   ├── main.py
│   ├── utils.py
│   ├── models.py
│   └── views.py
│
├── tests/
│   ├── __init__.py
│   └── test_main.py
│
└── docs/
    └── ... 
  • README.md: 프로젝트 설명과 사용 방법을 적습니다.
  • requirements.txt: 의존성 패키지 목록입니다.
  • setup.py: 프로젝트 빌드, 배포 도구입니다.
  • project_name/: 실제 프로젝트 코드가 위치합니다.
    • __init__.py: 이 디렉토리를 패키지로 인식하게 해줍니다.
    • main.py: 메인 실행 코드입니다.
    • utils.py: 유틸리티 함수 모음입니다.
    • models.py: 데이터 모델 정의입니다.
    • views.py: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입니다.
  • tests/: 테스트 코드 모음입니다.
  • docs/: 프로젝트 문서 파일이 위치합니다.

이런 식의 구조를 갖추면 코드 파일의 역할과 위치가 명확해져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좋아집니다. 실제 프로젝트 규모와 요구사항에 따라 디렉토리 구조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습니다.

PEP 8 스타일 가이드

PEP 8이란 무엇일까요? PEP(Python Enhancement Proposal) 8은 파이썬 공식 스타일 가이드입니다. 이 가이드에는 파이썬 코드 작성을 위한 규칙과 권장 사항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2].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명명 규칙
    • 변수와 함수 이름: lowercase_with_underscores
    • 클래스 이름: CapitalizedWord
    • 모듈 이름: short_lowercase_with_underscores
    • 패키지 이름: shorted_lowercase_with_no_underscores
  2. 코딩 스타일
    • 4개의 공백으로 들여쓰기(스페이스, 탭 금지)
    • 한 줄에 79자 이하로 작성
    • 클래스와 함수 사이에 두 줄 띄우기
    • 주석에서 ";" 사용 금지
    • docstring 작성 권장
  3. 표현식과 문장 작성 방식
    • 공백을 적절히 사용하여 가독성 높이기
    • 연산자 앞뒤에 공백 삽입
    • 콜론 뒤에는 공백
    • 반복문 else 구문에서 콜론 앞 공백 제거
  4. import 문 작성 방식
    • 표준 라이브러리 모듈을 가장 먼저 임포트
    • 서드파티 모듈 다음 임포트
    • 로컬 모듈 마지막에 임포트
    • 세 그룹 사이에 빈 줄 삽입
  5. 문자열 작성 방식
    • 작은 따옴표(')로 묶기
    • 여러 줄일 경우 세 개의 작은따옴표(''')로 묶기

이렇게 PEP 8 스타일 가이드를 따르면 파이썬 코드의 일관성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파이썬 커뮤니티에서도 이 가이드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많은 개발자와 프로젝트가 PEP 8 규칙을 따르고 있으므로 개발 시 참고하면 좋습니다.

파이썬 린터와 포매터

린터(Linter)와 포매터(Formatter)란 무엇일까요? 린터는 코드 문법 오류, 스타일 위반 등을 찾아내는 도구입니다. 포매터는 코드를 특정 스타일 가이드에 맞게 자동으로 정렬해주는 도구입니다.

린터와 포매터를 사용하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 일관된 스타일 적용: 여러 사람이 작업하는 프로젝트에서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가독성 향상: 코드의 구조와 스타일이 정돈되어 가독성이 좋아집니다.
  • 실수와 버그 방지: 린터가 문법 오류, 스타일 위반 등을 발견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시간 절약: 수동으로 코드를 고칠 필요 없이 린터와 포매터가 자동으로 스타일을 수정해주므로 시간이 절약됩니다.

파이썬에서 많이 사용되는 린터와 포매터는 무엇이 있을까요?

  1. Pylint 가장 인기 있는 파이썬 린터입니다. 코드 스타일뿐 아니라 설계, 의도하지 않은 문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코드를 분석합니다.
  2. Flake8 다른 린터들을 결합한 도구입니다. PyFlakes, pycodestyle, McCabe 등을 포함하고 있어 코드 스타일, 논리 오류 등을 검사합니다.
  3. Black 자동 코드 포매터입니다. 단순히 스타일을 바꾸는 것뿐 아니라 코드를 읽기 좋게 재구성해줍니다.
  4. AutoPEP8 PEP 8 스타일 가이드에 맞춰 코드를 자동으로 수정해주는 포매터입니다.

이렇게 린터와 포매터를 활용하면 일관되고 가독성 높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로젝트 초기에 린터와 포매터를 설정하면 전체 코드 스타일을 통일할 수 있어 유지보수도 쉬워집니다.

대부분의 IDE와 에디터에서 이런 도구들을 지원하므로 선호하는 IDE 또는 에디터에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VS Code에서는 Pylint, Flake8, Black 등을 쉽게 설치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파이썬 코딩 패턴

코딩 패턴이란 무엇일까요? 코딩 패턴은 특정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코드 구조를 말합니다. 이런 패턴을 활용하면 코드를 이해하고 작성하기 쉬워집니다.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되는 코딩 패턴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Iterator 패턴 컬렉션의 데이터에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파이썬에서는 for 루프와 generator를 이용해 Iterator 패턴을 구현합니다.
  2. Decorator 패턴 기존 객체에 추가 기능을 덧붙이는 방식입니다. 파이썬에서는 @decorator 문법을 이용해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3. Observer 패턴 객체의 상태 변화를 다른 객체에 알리는 패턴입니다. 파이썬에서는 기본적으로 내장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구현이 가능합니다.
  4. Strategy 패턴 알고리즘을 캡슐화하여 교체할 수 있게 해주는 패턴입니다. 파이썬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능력을 활용하면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5. Singleton 패턴 전체 시스템에 단 하나의 인스턴스만 존재하도록 하는 패턴입니다. 파이썬에서는 모듈, decorator, 메타클래스 등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런 패턴들을 잘 활용하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좋아집니다. 또한 다른 개발자들과 의사소통할 때에도 도움이 됩니다. 파이썬 코딩 패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Python Design Patterns"[3] 같은 책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자료

[1] PEP 8 - Style Guide for Python Code: https://www.python.org/dev/peps/pep-0008/ 

[2] 레이몬드 힌터 "PEP 8: The Newest Version of the Python Style Guide" https://realpython.com/python-pep8/ 

[3] 브렌던 사이크스 "Python Design Patterns" 책 (2021)

 

 

한 고대 문서 이야기

여기 한 고대 문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B.C. 1,500년 부터 A.D 100년까지 약 1,600 여 년 동안 기록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저자는 약 40 명입니다. 이 문서의 고대 사본은 25,000 개가 넘으나, 사본간 오

gospel79.tistory.com

 

유튜브 프리미엄 월 1만원 할인받고 월 4000원에 이용하는 방법

올해 5월부터 월 8000원 정도이던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이 15000원 정도로 인상됩니다. 각종 OTT 서비스, ChatGPT 같은 서비스들이 늘어나다보니 이런 거 몇 개만 이용하더라도 월 이용요금이 5만원을

stock79.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